본문 바로가기
2008년/2008년 8월강의

극복 3

by 빌보 배긴스 2017. 5. 22.

 

 

극복 3

 

영적으로 헌신하는 것만으로도 이미 세상에 심오한 영향을 준다. 왜냐하면 에너지가 아주 높아서 영적인 지향이 없는 수천의 사람들을 상쇄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불식간에 우리 자신인 바로 인해 봉사한다.

나는 언제나 말한다. 세상을 바꾸는 것은 당신이 하는 말이나 행동이 아니라 당신 자신인 바, 당신이 된 바이다.

 

영적 진화의 일부는 당신이 거짓 겸손을 포기하는 것이다. 거짓된 겸손.

그리고 당신은 인간으로서 천부의 권리를 소유한다. 당신은 또한 신성과 공유하는 것을 상속받았다. 당신 안의 신성, 그것은 자연에 있는 신성이다.

나무는 당신이 지나가는 것을 aware한다. 놀랍지 않은가?

그래서 나는 나무에 키스하는 것을 좋아한다.

 

진실과 거짓을 분별할 수 있는 내적인 능력은 신의 본질적인 선물이다. 그것의 발견이 우리로 하여금 우리 자신과 사회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실용적인 방식으로 그것을 이용하도록 해준다.

 

상대주의 대 절대주의, 프로타고라스의 격언.(다른 강의에 나옴.)

전통적인 교육의 결여로 인해 현대 세대들에게서 위대한 천재들의 지혜가 상실되었다.

내가 믿는 것은 나의 현실이고 당신이 믿는 것은 당신의 현실이다. 그러므로 이것들은 다른 현실들이라는 결론으로 도약한다. 그것은 극단적으로 에고중심적인 관점이다.

그리고 그 다른 현실들이 동일한 가치가 있다고 한다.

내게 리얼한 것은 나에게 리얼한 것이고 당신에게 리얼인 것은 당신에게 리얼이다.

그것이 우리에게 진리와는 틀린 방향으로 빠르게 진군하는 사람들에 대해 연민을 가지게 한다. 그들은 진실과 거짓을 분별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런 식으로 추정하는 것이다.

상대주의 대 절대주의. 의식척도는 절대주의이다.

마치 온도계나 고도계처럼 그것은 당신에게 어떤 것이 어디에 등록하는지 말해준다.

그것은 의견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의 작업에 대해 사람들이 이해 못하는 또 다른 것은 그것을 의견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리고 거기에 대해 어떻게 그렇게 말할 수 있느냐고 한다.

내가 그것을 말한 것이 아니라 측정해서 그렇게 나온 것일 뿐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기법을 사용하는 것은 무심한 객관성을 요구한다.

처음 발견하는 것은 진실의 수준이 얼마인가 하는 것이다.

그리고 당신이 그 답을 어떻게 다룰 것인지는 나중에 걱정하라.

사람들은 그것을 반대로 한다. 그들은 자신들이 마음에 품고 있는 어떤 점을 증명하기 위해 그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그들은 아주 틀린 결과를 얻는다.

옳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 당신은 과학적 무심함을 가져야 한다.

우선 나는 어떤 것이 얼마로 측정되는지 알고 싶다. 그리고 나는 나중에 그것이 의미하는 바를 이해하려고 할 것이다. 만약 내가 어떤 잘못된 개념을 가지고 있다면 나는 의미를 볼 때 그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2008년 > 2008년 8월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복 6  (0) 2017.05.25
극복 5  (0) 2017.05.24
극복 4  (0) 2017.05.23
극복 2  (0) 2017.05.21
극복 1  (0) 2017.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