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2007년10월 강의19 창조 7 창조 7 에고의 자기애적 핵심은 그 자체의 신성을 부정하는 것은 어떤 것이든 증오한다. 에고의 자기애적 핵심은 비밀스럽게 그것이 신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신성을 부정하는 것은 어떤 것이든 싫어한다. 그것은 그 자체를 우주의 무한한 힘이라고 보기를 원한다. 그리고 그것이 아.. 2017. 4. 15. 창조 6 창조 6 생존하는 것의 아름다움과 의의. 왜냐하면 생존한 것은 빈번히 아주 아름답기 때문이다. 상자해파리가 떠다니는 모습. 쏘이면 죽는다. 하하하 이제 당신은 지각 대 핵심을 알게 되었다. 만약 우리가 상자해파리에게 잘해주기만 한다면, 그러면 그들도 우리에게 잘할 것이다. 그것.. 2017. 4. 14. 창조 5 창조 5 당신은 얼마만큼의 즐거움을 얻었는가? 당신은 사랑을 측정할 수 없다. 의미 있는 모든 것들-사랑, 헌신, 미적 아름다움 등은 모두 과학적인 것이 아니며 측정할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과학만이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데에서 비선형적인 만족을 얻는 것이다. 그가 그렇게 주장하는 것은 그것에 대해 믿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와 동시에 그는 믿음에는 어떤 현실도 없다고 주장한다. 만약 믿음에 어떤 실상도 없다면 그는 과학에 대해 말하지 않았을 것이다. 혹은 다른 어떤 것이라도 마찬가지이다. 그것은 awareness의 한계이며 우리는 그들을 위해 기도한다. 하하하 우리는 그들을 위해 기도한다. 그들은 다른 생애로 되돌아 올 수 있다. 패러다임 충성. 그것은 사람들이 알지 못하는 것이다. 나.. 2017. 4. 13. 창조 4 창조 4 벌레는 생존하거나 생존하지 않는 것에 대해 신경 쓰지 않는다. 거기에는 흥미도 없다. 벌레는 단지 존재할 뿐이다. 생존은 당신의 머리 속에 있는 것이다. 그는 상관하지 않는다. 생존하는 것은 존재하는 대로의 자연에 적응했기 때문이다. -기계론적 환원론. 110으로 측정되지만 누가 말하는지에 달려있다. 그러나 기계론적 환원론은 단순한 선형적 설명이지 자연이나 실상 등에 대해 설명할 수 없으며 우주의 창조에 대해서는 더욱 그러하다. 이런 논쟁들은 결국 모두 물질 대 영으로 귀착된다. 유물론자는 영 같은 것은 없다고 부정한다. 그리고 그는 그런 부정에 아주 열을 올린다. 비선형적 핵심 대 형상. 우리가 말하고 있는 것은 어떤 것의 핵심은 형상과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것이다. 형상은 superimpos.. 2017. 4. 12. 이전 1 2 3 4 5 다음